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9618(Print)
ISSN : 2671-7506(Online)
Chinese Studies Vol.75 pp.193-210
DOI : http://dx.doi.org/10.14378/KACS.2021.75.75.10

A study on Korean and Chinese Existential Sentence : based on Construction Grammar

Nam Ryang-Woo
경남대학교 중국학과

Abstract

This paper discussed the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existential sentence based on construction grammar.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existential construction and Chinese existential construction. In Chinese, some sentences such as “天上飞着一只鸟。” are recognized as existential sentence, and this sentence represents dynamic state. But in Korean, a sentence such as “하늘에서 새 한 마리가 날고 있다.” is not recognized as existential sentence. The Korean form corresponding to the Chinese dynamic existential construction is ‘NL에서 NP가 V고 있다’. Compared to the Korean existential construction form, ‘NL에 NP가 V어/아 있다’, we can know they are different in form, which means that they are not the same construction. One of the principles that describe the connections between constructions, 'polysemy links', convincingly demonstrates that the Chinese static existential construction and dynamic existential construction are the same constructions. It also allows sentences such as “台上唱着大戏。”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controversial to be placed in the same category. On the other hand, Korean existential construction has not been extended to various directions like Chinese. Considering this fact, Chinese and Korean existential construction have different power of extension.

초록

본고는 구문문법이론을 바탕으로, 한‧중 존재문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국어 존재문의 구문형식, 구문논항, 구문의미는 각각 ‘NL+VP+NP’, <장소 대상>, ‘어떤 장 소에 무엇이 존재함’이다. 그리고 한국어 존재문의 구문형식, 구문논항, 구문의미는 각각 ‘NL에 NP가 V어/아 있다’, <장소 대상>, ‘어떤 장소에 무엇이 존재함’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어는 동태존재문을 존재문으로 인정한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동태존 재문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한‧중 존재문의 구성요소인 장소어, 술어, 존재대상에서의 차이로 이어진다. 구문들 간의 연결을 설명하는 원리 중 하나인 ‘다의성 연결’은, 중국어 정태존재문과 동태존재문이 동일한 구문이라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더불어 전통적으로 논쟁이 되어 온 “台上唱着大戏”와 같은 문장도 동일하게 존재구문의 범주로 편입할 수 있게 해준다. 반면 한국어 존재문은 중국어처럼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되지 못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중국어 존재문과 한국어 존재문은 확장성의 크기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중국어 존재문은 확장성이 크고, 한국어 존재문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것은 구문의 실현양상이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gure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