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9618(Print)
ISSN : 2671-7506(Online)
Chinese Studies Vol.80 pp.375-399
DOI : http://dx.doi.org/10.14378/KACS.2022.80.80.17

Rhetorical Analysis of Li Mi‘s 「Chenqingbiao」

Kim Da-Rae, Na Min-Gu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과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교수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Li Mi’s 「Chenqingbiao」 in terms of Rhetoric. Li Mi’s 「Chenqingbiao」 is written in the form of ‘表’, a post to the king, and the content is serious, logical, and very persuasiv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i Mi’s 「Chenqingbiao」 as a persuasive text, this paper applies and analyzes the Western rhetorical system.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Li Mi’s 「Chenqingbiao」 is a text,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Inventio (thinking area), which is the process of finding arguments, and in particular, the finding of arguments and argument strategies that are important in the thinking area were examined in detail. Li Mi is persuading the recipient, King, by bringing various arguments to support his thoughts or arguments from ‘Topos’, and at this time, he is expressing his opinion using various argumentation strategie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text seen in the Western rhetorical system, focusing on the purpose of persuasion of the text ‘biao(表)’ beyond simply the work that revealed “extreme filial piety to grandmother” i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초록

본고는 수사학 측면에서 李密의 「陳情表」를 분석하고자 한다. 李密의 「陳情表」는 왕에게 올리는 글인 ‘表’의 형식으로 쓰여져 그 내용은 진지하고 논리적이며 매우 설 득력이 있다. 李密의 「陳情表」가 갖는 설득 텍스트로서의 특징을 기초로 본고는 서 양의 수사학 체계를 적용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李密의 「陳情表」가 문언인 점을 감안하여 논거를 찾는 과정인 착상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착상 영역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논거 찾기와 논증전략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李密은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논거들을 다양한 말터에서 가져와 수 신자인 왕을 설득하고 있는데 이때 여러 논증 전략들을 사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피 력하고 있다. 본고는 중국의 고전 문학 작품인 李密의 「陳情表」를 단순히 ‘조모에 대 한 지극한 효성’이 드러난 작품, 즉 문학의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을 넘어서 ‘表’ 라는 텍스트가 가지는 설득의 목적에 초점을 두고 서양 수사학 체계에서 본 텍스트 를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Figure

Table